우즈벡 종족은 공동체성이 강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대표적인 공동체인 마할랴는 마을을 의미한다. 보통 한 마을 안에 여러 개의 마할랴가 존재한다. 마할랴가 형성된 것은 씨족 공동체가 한 지역에 모여 살면서부터이다.
하지만 마할랴가 씨족 공동체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같은 지역에 모여 살면 마할랴의 일원이 된다. 이들은 서로의 행사를 챙겨주며 누군가가 생일을 맞게 되면 온 마을 사람들이 모여서 함께 잔치를 벌이기도 한다. 카자흐스탄에서는 우즈벡 종족이 소수민족이기에 침켄트 지역에서 마할랴가 더욱 큰 역할을 하고 있다.
공동체의 지도자는 악사칼이다. 악사칼은 흰 수염이라는 뜻을 가진 단어이다. 연장자의 경험에서 나오는 지혜를 인정해서 마할랴의 어르신 중 가장 지혜 있고, 덕망 있는 자를 선출한다.
악사칼은 집단에 있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조율하고, 조언하는 역할을 감당한다. 악사칼의 영향력은 생각보다 커서 모두가 그를 존경하며 수많은 사람들이 악사칼에게 상담을 하기도 한다.
마할랴에서 이웃끼리 좋은 관계를 맺으면 공권력도 함부로 침범하지 못한다는 말이 있다. 이것은 마할랴가 법적 영향력을 뛰어넘을 만큼 강한 결속력을 지니고 있다는 표현이다. 경찰 조사에 있어서 이웃에 대해 유리한 진술만 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우즈벡 종족의 공동체성 때문에 기독교로 개종하기가 어려운 점이 되기도 한다. 개종했을 경우 공동체로부터 소외되기 때문이다. 심지어 배신자 소리를 듣기도 한다. 하지만, 마할랴를 통한 선교는 우즈벡 종족을 위한 굉장히 효과적인 선교의 도구가 될 수 있다. 특히 악사칼이 변화되면 그가 속한 마할랴 전체가 하나님께 돌아올 수 있다.
예수께서 가라사대 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 하셨으니 이것이 크고 첫째 되는 계명이요
둘째는 그와 같으니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 하셨으니 이 두 계명이 온 율법과 선지자의 강령이니라
(마22: 37-40)
기도제목
-
복음으로 인해 공동체로부터 소외 당하는 자들
복음을 받아들이고 하나님을 믿은 자들이 사람을 보지 않고 끝까지 믿음을 버리지 않으며 그들을 핍박하는 자를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사랑할 수 있게 하소서.
-
마할랴를 통한 우즈벡 종족 선교
마할랴를 통하여 우즈벡 종족이 주를 알게 하시고 특별히 악사칼이 변화되어 그가 속한 마할랴의 모든 사람들이 하나님께 돌아오게 하소서.
댓글0개